맨위로가기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예선 1, 2라운드와 결승 대회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괌에서, 2라운드는 중국 선전에서 열렸으며,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에는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이 참가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득점상은 허은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지소연(대한민국)이 공동 수상했으며, 최우수 선수(MVP)는 김은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가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여자 축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런던을 포함한 6개 도시에서 경기가 진행되었고, 미국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 캐나다가 프랑스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여자 축구 - 201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은 FIFA 주관으로 일본에서 개최되어 16개국이 참가, 미국이 독일을 꺾고 우승한 6번째 U-20 여자 월드컵 대회이다.
  • 2013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13
    2013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대회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독일이 우승을 차지하고 로타 셸린이 득점왕에 오른 대회이다.
  • 2013년 여자 축구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46개 팀이 참가하여 예비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 2위 팀 중 상위 4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네덜란드가 본선에 진출할 팀을 가리는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국제 대회로, 2007년 7월 괌에서 예선을 거쳐 2008년 2월 중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선에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EAFF 여자 동아시안컵
연도2013
다른 이름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개최국대한민국
대회 기간2012년 7월 17일 – 2012년 11월 24일 (예선)
참가 팀 수9
소속 연맹 수1
결과
우승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승 횟수1
준우승일본
3위대한민국
4위중국
총 경기 수15
총 득점61
최다 득점자허은별
최우수 선수김은주
대회 통계
이전 대회2010
다음 대회2015

2. 대회 방식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예선 1라운드, 예선 2라운드, 결승 대회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 예선 1라운드는 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21일까지 열렸으며, ,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하였다. 경기 결과 홍콩이 1위를 차지하여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예선 2라운드는 중국 선전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렸으며,[3] 1라운드 통과팀 홍콩, 중국, 중화 타이베이, 그리고 초청팀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하였다.[4] 경기 결과 중국이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되었으며,[3] 2라운드 통과팀 중국과 자동 진출팀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하였다.

3. 1라운드

'''1라운드'''는 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7월 21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모든 경기는 (UTC+10)에서 열렸다.

;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 경기가 열렸다.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
레오 팔라스 리조트



; 대회 순위

홍콩이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다.

순위국가승점경기
1홍콩62200153+12
23210194+5
3북마리아나 제도02002017-17



; 경기 결과

2012년 7월 17일부터 7월 21일까지 조냐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하여 경기를 치렀다.


  • 1차전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를 6-0으로 이겼다. 리셀라의 득점, 서버의 세 번의 득점, 오델과 윌터의 득점으로 승리하였다.

  • 2차전에서는 홍콩북마리아나 제도를 11-0으로 크게 이겼다. 응잉금의 네 번의 득점, 펑감무이의 두 번의 득점, 찬잉제의 세 번의 득점, 포칭잉의 득점, 카스틸료의 자책골로 승리하였다.

  • 3차전에서는 홍콩을 4-3으로 이겼다. 청웨이키, 찬잉제, 라우멍킹, 웡카만이 득점하여 홍콩이 승리하였다. 서버와 페레즈가 득점하였지만, 괌은 패배하였다.


; 수상 내역

득점상은 응잉금/吳穎琴중국어, MVP는 청웨이키가 수상했다.

득점상MVP
22x20px 응잉금22x20px 청웨이키[5]



최다 득점자는 페이지 서버, 찬윙세, 응윙쿰이며, 최우수 선수는 쳉와이키이다.

최다 득점자최우수 선수
22x20px 페이지 서버
22x20px 찬윙세
22x20px 응윙쿰
22x20px 쳉와이키



; 4골


  • 페이지 서버
  • 찬윙시
  • 응윙쿰


; 2골

  • 안젤리카 페레즈
  • 펑캄메이


; 1골

  • 안드레아 오델
  • 아리사 레셀라
  • 시몬 윌터
  • 청와이키
  • 라우멍킹
  • 포칭잉
  • 웡카만


; 1 자책골

  • 제럴린 카스티요

3. 1.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 경기가 열렸다.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


3. 2. 대회 순위

홍콩이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다.

순위국가승점경기
1홍콩62200153+12
23210194+5
3북마리아나 제도02002017-17


3. 3. 경기 결과

2012년 7월 17일부터 7월 21일까지 조냐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괌,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하여 경기를 치렀다.

1차전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를 6-0으로 이겼다. 리셀라의 득점, 서버의 세 번의 득점, 오델과 윌터의 득점으로 승리하였다.

2차전에서는 홍콩북마리아나 제도를 11-0으로 크게 이겼다. 응잉금의 네 번의 득점, 펑감무이의 두 번의 득점, 찬잉제의 세 번의 득점, 포칭잉의 득점, 카스틸료의 자책골로 승리하였다.

3차전에서는 홍콩을 4-3으로 이겼다. 청웨이키, 찬잉제, 라우멍킹, 웡카만이 득점하여 홍콩이 승리하였다. 서버와 페레즈가 득점하였지만, 괌은 패배하였다.

3. 4. 수상 내역

{{#ifeq: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득점상MVP
응잉금 청웨이키[5]



최다 득점자최우수 선수
페이지 서버
찬윙세
응윙쿰
쳉와이키



; 4골


  • 페이지 서버
  • 찬윙시
  • 응윙쿰


; 2골

  • 안젤리카 페레즈
  • 펑캄메이


; 1골

  • 안드레아 오델
  • 아리사 레셀라
  • 시몬 윌터
  • 청와이키
  • 라우멍킹
  • 포칭잉
  • 웡카만


; 1 자책골

  • 제럴린 카스티요

}}

4. 2라운드

'''2라운드'''는 중국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했다. 당해 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EAFF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했다. 모든 경기는 중국 선전에서 열렸다.

==== 경기장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라운드 경기는 중국선전 FC 홈구장인 선전 경기장에서 열렸다.

선전 경기장


==== 대회 순위 ====

중국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순위국가승점경기
1중국93300101+9
2오스트레일리아63201122+10
3중화 타이베이33102210-8
4홍콩03003112-11



==== 경기 결과 ====

2012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중국 선전에서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예선 경기가 진행되었다.


  • 1차전


2012년 11월 20일 17시에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7-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9시 45분에 열린 중국홍콩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6-0으로 승리하였다.

  • 2차전


2012년 11월 22일 17시에 열린 오스트레일리아홍콩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4-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19시 45분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중국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 3차전


2012년 11월 24일 15시 45분에 열린 중국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18시 30분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홍콩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1로 승리하였다.

==== 수상 내역 ====

득점상MVP
케이트 길 푸웨이


4. 1. 경기장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라운드 경기는 중국선전 FC 홈구장인 선전 경기장에서 열렸다.

경기장
선전
수용인원: 32,500명


4. 2. 대회 순위

중국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순위국가승점경기
1중국93300101+9
2오스트레일리아63201122+10
3중화 타이베이33102210-8
4홍콩03003112-11


4. 3. 경기 결과

2012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중국 선전에서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예선 경기가 진행되었다.

  • 1차전

2012년 11월 20일 17시(UTC+8)에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7-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9시 45분(UTC+8)에 열린 중국홍콩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6-0으로 승리하였다.

  • 2차전

2012년 11월 22일 17시(UTC+8)에 열린 오스트레일리아홍콩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4-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19시 45분(UTC+8)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중국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 3차전

2012년 11월 24일 15시 45분(UTC+8)에 열린 중국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는 중국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18시 30분(UTC+8)에 열린 중화 타이베이홍콩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1로 승리하였다.

4. 4. 수상 내역

득점상MVP
케이트 길 푸웨이


5. 결승 대회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7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5. 1. 경기장

결승 대회 경기는 대한민국서울월드컵경기장(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C 서울 홈구장), 화성종합운동장(화성 FC 홈구장) 및 서울올림픽주경기장(서울 이랜드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250x250픽셀
서울 화성 서울
수용인원: 66,704명수용인원: 35,270명수용인원: 69,950명


5. 2. 참가 선수 명단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는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의 선수 명단이 확정되었다.

5. 3. 대회 순위

wikitable

순위국가승점경기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7321031+2
2일본4311132+1
3대한민국3310245-1
4중국3310224-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1승 2패로 3위를 기록했다.

5. 4. 경기 결과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는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렀다.

  • 2차전
  • 2013년 7월 24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가 열렸다. 중국이 김나래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지만, 왕리쓰와 리잉의 득점으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 2013년 7월 25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일본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5. 5. 수상 내역

득점상은 허은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소연(대한민국)이, 최우수 선수(MVP)는 김은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가 수상했다.

2골을 기록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 허은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소연(대한민국)


1골을 기록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 왕리쓰(중화인민공화국)
  • 리잉(중화인민공화국)
  • 안도 코즈에(일본)
  • 나카지마 에미(일본)
  • 오기미 유키(일본)
  • 리은향(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나래(대한민국)
  • 김수연(대한민국)

6. 우승국

wikitext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우승
style="background:#E60000"|
제4대 동아시아 챔피언 (1회 우승)
2013년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7. 최종 순위

wikitable

순위국가경기승점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21031+27
2일본311132+14
3대한민국310245-13
4중국310224-23
▲ 결승 대회 진출
5오스트레일리아3201122+106
6중화 타이베이3102210-83
7홍콩3003112-110
▲ 2라운드 진출
8210194+53
9북마리아나 제도2002017-170
▲ 1라운드 진출





#
2라운드에서 우승한 중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
1라운드에서 우승한 홍콩의 경우 2라운드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8. 기록과 통계

2골을 기록한 선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허은별과 대한민국지소연이다. 1골을 기록한 선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리은향, 일본안도 고즈에, 나카지마 에미, 오기미 유키, 대한민국의 김나래, 김수연, 중국의 왕리쓰, 리잉이다.

팀별 득점 기록을 보면, 대한민국이 4득점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은 각각 3득점을 기록했고, 중국은 2득점을 기록했다.

팀별 실점 기록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실점으로 가장 적은 실점을 기록했다. 일본은 2실점, 중국은 4실점, 대한민국은 5실점을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35th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12-04-20
[2] 웹사이트 North Korea win EAFF Women's East Asian Cup http://www.goal.com/[...] goal.com 2013-07-28
[3] 웹사이트 Australia to enter EAFF East Asia Cup 2013 http://www.footballa[...] Football Federation Australia 2012-08-30
[4] 문서 Preliminary Round 1 winner
[5] 웹사이트 EAFF Women's East Asian Cup 2013 Preliminary Competition Round 1 in Guam https://eaff.com/com[...] EAFF 2017-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